Tuesday, June 10, 2008

Go conversational

[임귀열 영어] Go conversational (회화체는 미완성)

대전 C대학의 K교수는 1년의 미국 연수 중 녹음기를 들고 다니며 옆사람이 대화하는 것까지 녹음했다. 그 결과 K교수는 '원어민들의 대화 문장은 full sentence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는 결론을 얻었다. 회화체에는 미완성 문장이 더 많은데 '그것이 구어체 영어의 특징이고 실체'인 것을 깨달은 것이다.

식당에서 waitress가 "More coffee? Anything else?"라고 물을 때 그것은 "Do you want more coffee? Is there anything else you need?"의 줄임말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일상 대화에서는 이렇게 길게, 소위 완벽한 문장으로 말하는 것이 더 이상하게 들린다. 주어, 동사가 과감히 생략된 압축적 표현들이 회화체의 기본이다.
생략해도 무방한 이유는 대화체에서는 쌍방 사이에 상황, 주제에 대해 공감대가 형성돼 있어서 그것을 재론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lexical bundles(반복 어구)는 생략하는 게 낫다.

'Do you think they will come back from Europe? I don't know how much it costs ~'의 문장을 'They will come back~?' 이나 'How much it costs?' 라고 줄여도 상관없다. 'Don't know, you find it.' 같은 문장처럼 I를 빼도 좋고, 'Are you serious?'를 'You serious?'라고 줄이거나 'Yeah, (you're) telling me.'처럼 you're를 생략해도 무방하다.

회화는 실시간 대화라서 어느 누구도 문장을 낭독하듯 완벽하게 말할 수는 없다. 그래서 회화미완성의 문장 교환(dysfluencies)이라 부른다. 줄임형(reduced forms)이 빈번하며 오히려 그런 문장 구조와 표현법이 더 자연스럽다는 의미다.

To be honest(솔직히), Like I said(말씀드린 대로) 같은 큰 의미없는 어구를 자주 쓰게 되는 것도 즉각적인 반응을 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벌기 위한 것이다.

그래서 speaking은 문법 지식이 많은 사람보다 용기 있는 사람이 더 잘하게 된다.

No comments: